근래 사진(일부공개)/스크랩

갯바위 생물,바다 생물

SEETHESUN 해보리 2009. 3. 5. 08:10

 

◇ 연체동물     tn_a2.gif 민챙이의 움직임 동영상    tn_a2.gif 조개잡기 동영상    tn_a2.gif 낙지잡기     tn_a2.gif 맛조개잡기

bajirak.jpg

bitrigodoong.jpg

bomalgodoong.jpg

borimooreuk.jpg

chongal.jpg

daehap.jpg

ddagaebi2.jpg

 

 

바지락

비틀이고둥

보말고둥

보리무륵

총알고둥

대합

따개비

 

 

gamoorak.jpg

godoong.jpg

gool.jpg

hinbalnongge.jpg

honghap.jpg

jip.jpg

jip2.jpg

 

 

가무락

고둥류

흰발농게

홍합

칠게집

길게집

 

maepsari.jpg

matjogae.jpg

minchangi.jpg

mindljogae.jpg

nakji.jpg

noonalgodoong.jpg

pibboolgodoong.jpg

 

 

 

맵사리

맛조개

민챙이

민들조개

낙지

눈알고둥

피뿔고둥

wangjopsal.jpg

seohaebidan.jpg

keungooslwoorung.jpg

gaetwoorung.jpg

uggaebbulgodoong.jpg

jogae.jpg

dongjook.jpg

 

 

왕좁쌀무늬고둥

서해비단조개

큰구슬우렁

갯우렁

어깨뿔고둥

해산물

동죽

 

 

 

 

연체동물

갯고둥

(갯고둥과)

조간대 상부갯벌이나 바위지역 웅덩이에서 산다.
높이는 3cm 정도, 색은 검은색이다.

댕가리

(갯고둥과)

조간대 상부 갯벌에서 산다.
높이 2.5cm 정도의 원뿔형으로 회색과 밤색의 띠가 있다.

개울타리고둥

(밤고둥과)

높이1.5∼2.5cm 정도 둥근형이다.
검은색, 진녹색, 흰색, 갈색 등을 띄는 무늬가 나 있으며 입구 주변은 흰색이다. 궁항이나 죽막동, 하섬 등지의 바위에 붙어 산다.
삶아서 먹으면 맛이 좋다.

서해비단고둥

(밤고둥과)

계화도나 마포갯벌의 모래펄갯벌에서 산다.  
크기는 높이 1cm정도, 지름 1.5cm정도의 원뿔형이다.  
물이 빠진 갯벌위에 미로와 같은 포복흔적을 남긴다.

팽이고둥

(밤고둥과)

높이 1.5cm정도, 지름 1.5∼2cm정도의 원뿔형이며 팽이모양이다. 마포의 하섬이나 죽막동, 궁항 등지의 바위에 붙어 산다. 삶아서 먹으며 맛이 좋다.

대수리

(뿔소라과)

조간대 상부의 바위지역에서 맵사리와 섞여 사는데 생김새나 맛이 맵사리와 비슷하다.
크기는 맵사리보다 작은 편이다.

맵사리

(뿔소라과)

이 지방에서는 다시락이라고 부른다.  
길이 2∼3cm정도이고 회색에 진녹색의 세로 무늬가 있다. 껍질이 아주 단단하다.  
조간대 상부의 바위 지대에 살며 다른 고둥, 담치, 굴, 따개비 등을 먹는 육식성이다.  
삶아서 내용물만 꺼내 먹는데 맛이 좋다.

피뿔고둥

(뿔소라과)

성인 주먹만한 크기의 큰 고둥으로 이 지방에서는
소라 혹은 소랑이라고도 한다.  
껍질이 매우 두껍고 단단하며 안쪽은 붉은색이다.  
마포의 하섬이나 죽막동 부근의 조간대 하부에서부터 깊은 곳까지의 모래펄갯벌이나 바위밑에 산다.
물 속에서 기어다니며 모래 속의 조개나 바위에 붙은 굴이나 홍합 등을 잡아 먹는다.  
이 지방에서는 이
소라의 빈 껍질을 이용해 쭈꾸미잡이를 한다.  
횟감으로나 죽으로 요리하는데 맛이 아주 좋다.

애기삿갓조개

(삿갓고둥과)

높이 1cm정도, 길이 4cm, 폭 3cm정도이고 껍질은 타원형의 삿갓 모양이다.  
녹색에 흑갈색의 반점이 퍼져 있다. 장소에 따라 차이가 많다.  
조간대 바위지역에 살며 움직일 때는 껍질을 살짝 들어올리고 아주 느리게 움직인다.

눈알고둥-눈머럭대(현지명)-lunella coronata coreensis

(소라과)

지름 2cm정도 크기로 원형에 가깝다.
짙은 녹색의 껍질에 녹조류가 끼어 있다.
다른 고둥류는 입구의 각질이 납작한데 비해
눈알고둥은 반구형의 사기질같아 보이는 각질이 흡사 눈알 같아 보인다.
부안의 죽막동, 궁항, 하섬 등 해안 바위지역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주름송곳고둥-Diplomeriza evoluta

(송곳고둥과)

길이 7.5cm정도, 지름 1.5cm정도로 아주 긴 원뿔형이다.
나사형의 골이 11∼12층이며 밝은 고동색이다.
조간대 하부에서부터 깊은 바다의 모래펄에 산다.  
큰 파도가 친 다음날 해변가에 떠 밀려 나온 것을 간혹 볼 수 있다.

 

왕좁쌀무늬고둥

(좁쌀무늬고둥과)

갯벌의 청소부-왕좁쌀무늬고둥
높이 1.5cm 정도, 지름 1cm 정도의 작은 고둥이다.
흑갈색에 좁쌀 모양의 무늬가 있으며, 갯벌지역 웅덩이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죽은 물고기에 집단으로 몰려 먹이활동을 한다.
부안의 어느 갯벌에서나 흔하게 볼 수 있다.

총알고둥

(총알고둥과)

높이·지름 1cm정도의 비교적 작은 고둥이다.
부안의 죽막동, 궁항, 하섬 등지의 바위지역에 많다.
총알처럼 꽁무니 부분이 뾰죽하다.

테두리고둥

(흰삿갓조개과)

조간대 상부 바위지역에서 바위에 부착해 사는데 이동이 거의 없다.
높이는 0.5cm 정도로 납작한 편이며, 길이는 2∼3cm 정도, 폭 1.5∼2,5cm 정도로 별 모양이다.
연두색에 움푹 들어간 가장자리는 흑갈색을 띤다.

갯우렁이

(구슬우렁이과)

조간대 상·중부의 모래펄갯벌에 산다.
부안에서는 마포, 대항리 계화도에서 드물게 발견된다.
높이 4∼5cm 정도로 생김새는 민물우렁이와 비슷하고, 생육환경은 큰구슬우렁이와 비슷하다.

큰구슬우렁이

(큰구슬우렁이과)

계화도, 마포, 대항리 등지의 모래펄갯벌에 산다.
물이 거의 빠지면 기어다니며 조개나 굴 등 패류를 잡아 먹는다.
건드리면 물을 뱉어 내며 근육을 수축시켜 껍질 속으로 들어간다.
매년 5∼6월이면 해변가에서
큰구슬우렁이의 알집을 쉽게 볼 수 있다.
보통 달걀크기만한 것이 대부분이나 큰 것은 어른 주먹만한 것도 있다.
껍질 표면은 매끄럽다. 이 지방에서는 '배꼽'이라고 부른다.

낙지-Octopuse minor

(문어과)

낙지는 조간대 하부나 천해대에서 사는 연체동물이며 최후의 청소부 역할을 한다. 마지막 남은 유기물을 싹 청소하는 것이다. 변산면 마포리 하섬에서 이놈을 만났다. 진흙갯벌에서 낙지 구멍을 발견하였다. 마치 용암이 분출하는듯 뻘 속에서 물을 계속 내뿜고 있어 낙지 구멍은 화산처람 생겼고 분화구에서는 계속 용암처럼
뻘이 분출되고 있다.

 

 

 

 

 

 

 

낙지는 뻘 속에서 무척 잽싸게 움직인다.
미리 여러 통로의 구멍을 파두었는지 아차 하면 놓치기 십상이다.
구멍을 중심으로 널찍하게 땅을 잡아서 포위망을 좁혀야 한다.

 

 

 

 

 

마침내 잡는 데 성공하였다.
갯벌 위에서 온몸을 비틀며 안간힘을 쓰지만 어쩔 수 없다.
그는 생태계에서 자신의 역사적 소임을 다하고 곧 술 안주감으로 화하여
또 다시 윤회를 반복하리라.

쭈꾸미

(문어과)

쭈꾸미는 2월부터 5월까지 변산반도 어느 곳에서나 많이 나는데,
한식일을 전후한 무렵이 제맛이다.

쭈꾸미는 뭐니뭐니해도 소라방 쭈꾸미가 맛이 좋다.
쭈꾸미가 산란기에는 알을 낳기 위해 소라방을 찿기 때문이다.
아직도 격포, 궁항, 모항 등지에서는 소라방을 이용하여
쭈꾸미잡이를 하고 있다.
쭈꾸미는 회로 먹어야 제맛, 부드럽고 맛이 담백하다.
또한 끓는 물에 살짝 대쳐서 먹어도 좋다

 

연체동물

 

피뿔고둥

피뿔고둥
   조가비가 두껍고 단단하며 보통 주먹 모양이다.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조간대부터 수심 20미터 사이의 모래나 펄 바닥 또는 바위 밑에 산다.

 

가무락

가무락
   조가비의 모양은 떡조개와 비슷하나 더 부풀어 있고 색깔은 보통 흑자색이다. 두꺼운 조가비의 표면은 천의 결 모양이며 전국 펄갯벌의 상부에서 볼 수 있다.

 

 

 

 

 

맛조개

 

큰구슬우렁이

큰구슬우렁이
   조가비의 표면이 항상 모래로 문질러져 평평하고 미끄럽다. 치설(齒舌)을 이용하여 주로 조개나 다른 고둥을 포식한다.

맛조개
   가늘고 긴 장방형으로 길이는 약 6센티미터에 달하고 조가비는 깨지기 쉽다. 서해 중부 연안의 모래펄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 중부에 많이 분포한다.

 

 

 

 

 

 

서해비단고둥

서해비단고둥
   우리나라 서해의 모래펄 또는 모래갯벌에서 표층 퇴적물식을 하는 고둥류이다. 장소에 따라서 엄청난 밀도로 서식한다.

 

바지락

바지락
   입수관을 통해 들어온 해수를 여과하여 바닷물을 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유물식자이다. 인천의 선재도는 우리나라에서 단위 면적당 바지락 생산량이 가장 많다.

 

 

 

 

 

동죽

동죽
   입수관으로 해수를 취하고 해수와 함께 들어온 먹이를 아가미의 점액으로 감싼 뒤 입 주위에 있는 순판을 움직여 입으로 가져간다.

 

민칭이

민칭이
   우리나라 갯벌에서 집단으로 서식하는 표층퇴적물식자이다. 신생 퇴적물이나 살아 있는 미생물이 풍부한 저표 퇴적물을 먹는데 적합한 섭식을 한다.

 

 

 

 

 

바지락이 잡아먹힌 흔적

바지락이 잡아먹힌 흔적
   큰구슬우렁이나 갯우렁이가 보조 천공 기관에서 산성의 액즙을 분비하여 조가비를 녹이고 치설로 구멍을 뚫어 내장 기관이나 살을 먹은 흔적이다.

 

민칭이의 교미

민칭이의 교미
   늦은봄이나 초여름이면 민칭이의 짝짓기를 볼 수 있다.

 

 

 

 

 

아기반투명조개

아기반투명조개
   어느 정도 유기물 오염이 있는 곳에 고밀도로 서식한다. 우리나라 남해안의 내만은 물론 인천의 북항에서 많은 양이 출현하며 동춘동 척전 갯벌의 하부 조간대에서도 나타난다.

 

동죽

동죽
   부유물식자인 동죽은 서해안 모래펄갯벌의 중부조간대에 많으며 주로 식용으로 이용한다.

 

 

 

 

 

민칭이

민칭이
   서해 중부의 연안에서 가장 전형적인 퇴적물식을 고둥류이다. 물이 빠지면 개펄 속으로 파고든다.

 

맛조개의 땅속 매몰 생활

맛조개의 땅속 매몰 생활
   맛조개는 단단하고 긴 다리를 가지고 있어 펄위에 놓으면 그 끝의 뾰족한 다리를 펄 속으로 넣고 다시 앞쪽 끝을 부풀게 하여 다리를 움츠린다. 부푼 부분이 받침이 되어 긴 조가비는 펄 속으로 빨려 들어간다.

 

 

 

 

 

갯벌의 사해식자 왕좁쌀무늬고둥

갯벌의 사해식자 왕좁쌀무늬고둥
   조개류나 게 등의 죽은 시체에 몰려 먹어 치우는 부식자이다. 특히 펄이나 모래펄갯벌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따개비, 굴, 낙지

따개비, 굴, 낙지
   암석펄에 가면 돌에 다닥다닥 붙어 있는 따개비와 굴을 흔하게 볼 수 있다. 사진에는 낙지는 물이 빠르게 빠져 나가자 숨을 곳을 찾아 내려가고 있다.

 

 

 

 

 

갯우렁의 포식

갯우렁의 포식
   갯우렁이 살아 있는 굴을 자신의 살로 감싸 꼼짝 못하게 해서 먹으려 하고 있다. 갯우렁은 치설(齒舌)로 딱딱한 굴의 껍데기를 갈아 구멍을 낸 다음 살을 녹여 먹는다.

 

가무락

가무락
   물 빠진 다음 펄 속으로 몸을 숨기려는 가무락의 몸짓이 아주 힘차다. 가무락은 물이 차 있을 때는 펄밖에 나와 돌아다니며 플랑크톤을 잡아먹는다.

 

 

 

 

 

삿갓조개

삿갓조개
   돌이나 바위에 붙어사는 삿갓조개. 바위에 붙어 사는 미세조류를 먹고 산다.

 

짝짓기하는 민칭이

짝짓기하는 민칭이
   시계 방향으로 아주 느리게 돌아가며 짝짓기를 하고 있는 민칭이 두 마리

arrow18a.gif

 

  tn_a2.gif 게의 움직임   tn_a2.gif 칠게 집짓기    tn_a2.gif 농게 움직임1    tn_a2.gif 농게 움직임2   tn_a2.gif 농게집

bamge.jpg

bangge.jpg

baweege.jpg

bumge.jpg

chilge.jpg

chilge2.jpg

gilge.jpg

 

 

밤게

방게

바위게

범게

칠게1

칠게2

길게

 

hinbalnongge.jpg

jip.jpg

jip2.jpg

jipge.jpg

gaetgaje.jpg

gaetgangoo.jpg

minkotge.jpg

 

 

흰발농게

칠게집

길게집

집게

갯가재

갯강구

민꽃게

 

 

takchongsaewoo.jpg

yupnange.jpg

kongge.jpg

kotge.jpg

nongge.jpg

ssok.jpg

 

 

 

딱총새우

엽낭게

콩게

꽃게

농게

 

 

 

 

◇ 환형동물, 기타동물          tn_a2.gif개불잡기 동영상      tn_a2.gif 개불의 운동      tn_a2.gif 갯지렁이의 운동

amurbulgasari.jpg

byulbulgasari.jpg

dootomakgaetjirungi.jpg

gaebul.jpg

gaebuljip.jpg

 

 

 

 

아무르불가사리

별불가사리

두토막눈썹불가사리

개불

개불집

 

 

 

 

mangdunga.jpg

gasidathaesam.jpg

gasigeomibul.jpg

ggotgaetjirongi.jpg

malmijal.jpg

 

 

 

 

망둥어

가시닻해삼

가시거미불가사리

꽃갯지렁이

말미잘

 

 

 

 

 

◇ 염생식물                  tn_a2.gif 신두리 식물 동영상      tn_a2.gif 식물사전

boodle.jpg

beonhaengcho.gif

boocherson.gif

gaetgaemichi.gif

cheonilsacho.jpg

ddangchaesonghwa.jpg

gaetbangpoong.gif

 

 

부들

번행초

부처손

갯개미취

천일사초

땅채송화

갯방풍

 

 

gaetggachisooyoung.gif

gaetgumbulcho.gif

gaethwalangnamul.jpg

gaetjandi.gif

gaetjilgyeongi.gif

gaetmeggot.gif

gaetsookbujaengi.gif

 

 

갯까치수영

갯금불초

갯활량나물

갯잔디

갯질경이

갯메꽃

갯쑥부쟁이

 

 

gaetssumbagui.gif

gaetwandoo.gif

galdae.jpg

ganungaetneung.gif

haedanghwa.jpg

haegook.gif

jichae.gif

 

 

갯씀바귀

갯완두

갈대

가는갯능쟁이

해당화

해국

지채

 

 

mosaedal.gif

namoonjae.gif

semogoraengi.gif

gaetgangaji.gif

tungtungmadi.jpg

waegolmoo.jpg

hwanggeun.gif

 

모새달

나문재

세모고랭이

갯강아지

퉁퉁마디

왜골무

황근

 

wangjilgyeong.gif

soosongnamul.gif

tongborisacho.jpg

haehong.gif

gaetneungjaengy.gif

wangjandi.gif

gaetpaeraengi.jpg

 

왕질경이

수송나물

통보리사초

해홍

갯능쟁이

왕잔디

갯패랭이꽃

 

 

 

◇ 대형 해조류

gim.jpg

kosiraegi.jpg

miyuk.jpg

parae.jpg

tot.jpg

꼬시랭이

미역

파래

◇ 겨울새                tn_a2.gif A지구 새의 비상     tn_a2.gif 철새 사전

abi.jpg

badabiori.jpg

bboolnonbyungari.jpg

chammae.jpg

chamsoori.jpg

cheongdoongori.jpg

denggimooltasae.jpg

doyo2.jpg

 

아비

바다비오리

뿔논병아리

참매

참수리

청둥오리

댕기물떼새

도요

 

gaeddongjibbagi.jpg

gamauji.jpg

gireogi.jpg

goni.jpg

gumeunmurigalmaegi.jpg

heukdurumi.jpg

hokburiori.jpg

gachangori3.jpg

 

개똥지빠귀

가마우지

기러기

고니

검은머리갈매기

흑두루미

혹부리오리

가창오리

 

jaegalmaegi.jpg

mongoliangull.jpg

nonbyungari.jpg

norangbalgull.jpg

soybueongi.jpg

hinjukji.jpg

hwangsae.jpg

 

 

재갈매기

몽고리안갈매기

논병아리

노랑발갈매기

쇠부엉이

흰죽지

황새

 

 

 

◇ 여름새        tn_a2.gif B지구 새의 비상

alrakhalmisae.jpg

daebaekro.jpg

ddeumboogi2.jpg

gaegaebi.jpg

haeoragi.jpg

hinbaeddeumoogi.jpg

hinmultesae.jpg

hongbidoolgi.jpg

 

알락할미새

대백로

뜸부기

개개비

해오라기

흰배뜸부기

흰물떼새

홍비둘기

 

hosadoyo.jpg

hwangro.jpg

jangdari.jpg

jeosae.jpg

soimooldak.jpg

soybaekro.jpg

hootooti.jpg

 

 

호사도요

황로

장다리

저어새

쇠물닭

쇠백로

후투티

 

 

 

◇ 텃새, 떠돌이새

bbooljongdari.jpg

jjiruregi.jpg

mae.jpg

maltongari.jpg

metbidulgi.jpg

norangboorabaekro.jpg

norangburijeosae.jpg

wonang.jpg

뿔종다리

찌르레기

새매

말똥가리

멧비둘기

노랑부리백로

노랑부리저어새

원앙

 

댓글수0